본문 바로가기
컴퓨터정보

KB5060829 Windows 11 24H2 보안 및 기능 업데이트 및 다운로드 제공[2025-06-26]

by 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 2025. 6. 28.
반응형

KB5060829 Windows 11 24H2 보안 및 기능 업데이트 및 다운로드 제공 [2025-06-26] 

2025년 6월 26일, Windows 11 24H2(빌드 26100.4484) 사용자들을 위한 KB5060829 프리뷰 누적 업데이트가 배포되었습니다.
이번 업데이트는 보안 강화와 함께 여러 가지 기능 개선 및 시스템 안정성 향상을 목적으로 하며, 설치 시 빌드 번호는 26100.4484로 유지됩니다.

✅ 대상: Windows 11 24H2
✅ 업데이트 후 빌드: 26100.4484

KB5060829 Windows 11 24H2 보안 및 기능 업데이트 및 다운로드 제공
KB5060829 Windows 11 24H2 보안 및 기능 업데이트 및 다운로드 제공

 


목차

1️⃣ 업데이트 주요 내용
2️⃣ 업데이트 설치 방법
3️⃣ 알려진 문제 및 AI 컴포넌트 업데이트
4️⃣ 고객 지원 안내


1️⃣ 업데이트 주요 내용

보안 및 성능 개선

  • Windows Hello for Business 인증서 자동 갱신 문제 해결
  • Storage Spaces Direct의 성능 저하 및 응답 중단 문제 수정
  • 원격 SMB 공유 환경에서 스크립트 실행 지연 현상 해결

새 기능 및 사용자 경험 향상

  • PC 간 데이터 이전 기능(PC-to-PC 마이그레이션)이 단계적으로 도입되어, Windows Backup 앱을 통해 파일과 설정을 쉽게 이전할 수 있게 됨(향후 정식 지원 예정)
  • 내레이터 기능에 스크린 커튼 추가, 화면을 검게 만들어 민감한 정보를 안전하게 보호
  • 작업 표시줄 아이콘 크기를 자동으로 조절하는 기능 도입, 공간이 부족할 때도 아이콘을 효율적으로 배치 가능
  • 음성 액세스 기능에 중국어(간체·번체)와 일본어 지원이 확대되고, 사용자 사전 등록 기능이 추가됨
  • Windows 공유 기능 개선으로 웹 링크에 시각적 미리보기가 추가되고, 이미지 압축 수준을 선택할 수 있음
  • 파일 탐색기에서 대용량 압축 파일(7z, rar) 해제 성능 향상
  • 디스플레이 문제(녹색 화면, 색상 보정 취소 시 응답 중단 등)와 Windows Search의 반응 속도 및 안정성 개선
  • 기타 작업 표시줄 미디어 컨트롤 깜박임, ALT+Tab 전환 시 앱 멈춤 등 다양한 버그 해결

2️⃣ 업데이트 설치 방법

자동 업데이트

  • Windows 설정에서 ‘Windows 업데이트’ 메뉴를 열고 ‘업데이트 확인’을 눌러 최신 업데이트를 설치하세요.
  • 설치 후 PC를 재부팅하면 적용이 완료됩니다.

수동 업데이트

  • Microsoft 업데이트 카탈로그 사이트에 접속
  • 검색창에 ‘KB5060829’를 입력하고 시스템에 맞는 업데이트 파일을 다운로드 후 설치하세요.

 

다운로드 링크

 
Windows 11 24H2 x64(일반사용자용) 직접링크 제공
다운로드
UpdateID
d6139262-889e-40e7-92e9-dc53dafd6dfb
2025-06 x64 기반 시스템용 Windows 11 Version 24H2에 대한 누적 업데이트(KB5063060)
https://catalog.sf.dl.delivery.mp.microsoft.com/filestreamingservice/files/107101f6-ddf6-4944-823d-53ce500f64a3/public/windows11.0-kb5060829-x64_144ba5be85931cb016a450a8ac17526146cdbdb1.msu
(SHA1: lr4x4+Phy8IWIpq7g+W+naTghJY=)
(SHA256: pfKGcLUyCQgUSoeJk68DHPQdYB6mkB6yEPobYJfAu0o=)

 


3️⃣ 알려진 문제 및 AI 컴포넌트 업데이트

알려진 문제

  • Chromium 기반 브라우저(Edge, Chrome 등)에서 96 DPI(100% 스케일) 환경 사용 시, 중국어·일본어·한국어(CJK) 글자가 흐릿하게 보일 수 있습니다.
  • 임시 해결책으로 디스플레이 배율을 125% 또는 150%로 높여 사용하시면 개선됩니다.
  • 마이크로소프트가 이 문제를 조사 중이며, 추후 패치를 제공할 예정입니다.

AI 컴포넌트 버전

  • 이미지 검색, 콘텐츠 추출, 의미 분석 관련 AI 구성 요소가 1.2506.707.0 버전으로 업데이트되었습니다.

4️⃣ 고객 지원 안내

업데이트 관련 문의나 PC 문제 해결은 지유넷에서 친절히 도와드립니다.

📞 연락처: 031-716-4785
🏢 위치: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미금로 215 대원상가 1층
🌐 웹사이트: www.gunet.co.kr
📝 블로그: https://blog.naver.com/gunetpc
📧 이메일: gunet@gunet.co.kr

 


2025 지유넷. All Rights Reserved.

 

반응형

댓글